YK's Library

"재택근무"을 영어로? / House와 Home의 차이 분석 본문

What I Study - Language

"재택근무"을 영어로? / House와 Home의 차이 분석

kye2330 2020. 3. 14. 10:23
728x90

요즘 재택근무를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으니, 재택근무, 그리고 house와 home이란 단어에 대해서 얘기해보려고 한다.

 

재택근무에 대한 영어 표현은 꽤 다양하다.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7가지나 되지만 미세한 의미 차이는 있을 것이다.

Telecommuting, also called telework, teleworking, working from home, mobile work, remote work, and flexible workplace, is a work arrangement in which employees do not commute or travel (e.g. by bus or car, etc.) to a central place of work, such as an office building, warehouse, or store.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Telecommuting)

 

이중에서 telecommuting, telework, teleworking, remote work는 "원격" 근무에 초점을 두었다.

mobile work와 flexible workplace는 "이동식", "탄력적" 근무에 초점을 두었다.

working from home은 말그대로 "재택" 근무이다.

 

즉 진짜로 근무자가 본인의 집에서 일을 할 때는 "working from home"이 가장 적절한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이 7가지 표현 중에서 가장 informal하게 쓰일 수도 있고 말이다.

 

그런데 난 이 표현을 들었을 때 조금 의아했다. 왜 전치사는 굳이 from을 쓸까. "집에서"라고 할때 보통 "at home"이라고 하지 "from home"을 쓰진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구글에 사용빈도수를 검색해보니,

"working from home" 50,100,000회 / "working at home" 68,600,000회로, 후자가 훨씬 더 많이 쓰였다.

 

실제로 내가 아닌 다른 영어 학습자들도 두 표현의 차이가 궁금했는지, 관련 질문이 사이트에 올라왔다. 그에 대한 답변은 아래와 같다.

 

On ELU, I have to say Work from home is the correct expression, though Work at home is also heard when that same idea is meant. When you work from home, it is only the place of work that changes -- the work still belongs to the company (or whoever); when you work at home, you could be doing just about any work, any one's work, including your own personal work.

It's also more common to use Work from home when you do it on a regular, long-term basis and possibly say Work at home only in the case of individual/ occasional/ short-term assignments: "You can work at home for this task."

(출처: https://english.stackexchange.com/questions/133734/work-at-home-vs-work-from-home)

 

즉,  "work from home"이라고 하면 나를 고용한 회사가 존재하고 그 회사를 위한 일을 하는 장소가 단순히 사무실에서 집으로 바뀌었다는 뉘앙스가 강하다. "from" 어디선가 출발해서 최종 도착지 (중앙 업무 시스템이든 뭐든..)로 간다는 이미지가 떠오른다.

반면, "work at home"은 그런 방향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냥 집에서 하는 모든 일을 지칭할 수 있어서 훨씬 포괄적인 의미이다. 정말 재택에서 하는 회사 일일수도 있고, 프리랜서가 집에서 일하는 것일 수도 있고, 집에서 개인적으로 하는 일/집안일 등 모든 걸 통칭한다.

 

그렇기 때문에 구글에 검색했을 때 "work at home"이 당연히 많이 나올 수밖에 없다. 그러나 지금과 같이 감염증으로 인해 사무실 근무를 임시적으로 재택근무로 바꾸었거나, 아니면 어딘가에 고용되었으나 일을 하는 장소가 집인 경우에는 "work from home"이 더 적절하다는 것.

 

그 다음으로 살펴볼 것은 home과 house이다. "집"이라고 하면 둘 중 무엇이 떠오르는가?

내가 알기론 house는 물리적인 '집' 자체를 의미하고, home은 추상적인 '가정'에 가깝다. 하지만 여러 용례를 보면 그 구분이 꽤나 애매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 흔히 '주부'라고 하면 housewife이지, homewife가 아니다. (house keeper란 표현도 있다.)

2. homework는 학교나 학원에서 내 주는 '숙제'이고, housework는 설거지, 청소, 빨래 같은 '집안일'이다.

3. 앞서 말했듯이 '재택근무'는 working from home이지 working from house가 아니다.

4. 그런데 웃긴 건, 회사에 소속되어 특정 일을 하는 사람들을 지칭할 때 보통 'in-house'라는 표현을 쓴다. 재택/본인의 집과 전혀 무관하며, 오히려 회사, 사무실에 가깝다.

5. 그리고 All the drinks are on the house. 라고 하면 모든 음료가 '식당에서 공짜로 준다'라는 뜻이다. (우리집 혹은 가정과 무관)

 

이쯤되면 내가 알고 있는 home과 house의 명확한 구분 따위.. 혼란에 빠진다. 하지만 다시 머리를 부여잡고 분석을 해보자.

 

우선, work from home, in-house, on the house를 살펴보면, house는 business를 하는 곳 혹은 business 그 자체를 의미하며, 그 반대 의미 (집, 가정)로 home을 쓴다는 걸 알 수 있다. 즉, in-house lawyer(사내변호사)로써, working from home(재택근무) 할 수 있는 것.

 

실제로 영어사전에 따르면 house는 꼭 가족이 사는 집이 아니라, 특정 목적을 가진 시설로도 쓰인다. "steakhouse"는 스테이크를 파는 식당이고, 들어보진 않았지만 "a fashion/banking/publishing house" (의류회사, 은행, 출판사) 이렇게도 쓴다고 한다. house가 애초에 '물리적' 집과 가까운 의미이기 때문에 이렇게 다양한 의미로 확장이 되는 것 같다.

 

영어사전상의 House를 살펴보면 house의 특징이 더 뚜렷하게 나온다.

 

1. 집, 주택, 가옥
2. 식구들, 집안 사람들
3. [합성어] <회의 개최, 동물 사육물품 보관 등의 특정 목적을 위한 건물>

   예: opera house, doghouse, lighthouse, warehouse, etc. 
4. <사무실 건물 명칭에 쓰임>

   예: he second floor or Chester House)
5. (특정 사업을 하는) 회사; (특정한 종류의) 기관
   예: a fashion/banking/publishing house, in-house
6. [합성어에서] 식당
   예: a steakhouse
7. 의회[상하원] (의원들)

 

반면 Home은 물리적인 집/가옥보다는 '누군가/무엇인가가 애초에 속한 집단/환경'이라는 의미에 더 가깝다. 영어사전을 살펴보자.

 

1. (특히 가족과 함께 사는) 집, 가정
2. (사고 팔 수 있는 재산으로서의) 주택
3. 고향, 고국
   예: I often think about my friends back home.
4. (함께 사는 가족과 그 생활 방식을 가리키는 의미의) 가정
   예: She came from a violent home.
5. (다른 사람의 보살핌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한) 시설, 거주지
   예: a children's home
6. 주인 없는 애완동물 보호소
   예: a dog's home, a cat's home
7. (동식물의) 서식지, 자생지, 집
   예: This region is the home of many species of wild flower.
8. (사물, 사상 등의) 고향, 발상지
   예: New Orleans, the home of jazz

 

이제 home과 house의 구분이 다소 명확해졌다.

 

그렇다면 앞서 대답하기 어려웠던 housewife, homework와 housework를 살펴보자.

 

housework는 물리적인 집 안에 살기 때문에 당연히 수반되는 일이다. 설거지, 청소, 빨래... 아이들 가르치거나 하는 건 포함하지 않는다. '집안일'이 homework가 될 수 없는 이유다. homework는 물리적으로 집과 분리된 학원이나 학교에서 내 주는 숙제이니까 house가 더 적절하지 않을까 생각이 들지만.. 사실 인터넷 강의를 들어도 homework는 존재할 수 있다. (집에서 강의를 듣고 집에서 숙제를 해도 homework라는 뜻.) 즉 물리적인 집에서 하는 공부/숙제라기보다는 외부의 도움 (학교 선생님 혹은 누군가) 없이 생각하고 연습하고 해결한다는 의미에서 house보단 home이 어울리는 것이 아닐까. 물론 표현이 이미 만들어지고 어거지로 끼워 맞추는 것일 수도 있지만 말이다.

 

housewife는 설명하기가 제일 어렵다. 단순히 생각하면 한국어에도 '집사람'이란 표현이 있듯이 물리적으로 집 안에 있는 '주부'를 hosuewife로 하는 게 말이 된다. 하지만 결국 가정을 이룬 사람 중 한명인데 homewife이 아닌 housewife라고 부르는 건 좀 서운하지 않나.. (그래서 요즘 이 표현이 점차 안쓰이는 건가..)

 

언어는 긴 세월에 걸쳐 변화하는 유기체이고, 어떤 표현이 쓰이기 시작했어도 정확한 출발지 (사용자, 사용한 이유 등)를 알기 어렵다. 즉 어떠한 경향성은 발견할 수 있어도 그게 과학적으로 증명하거나 속 시원하게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house와 home의 차이는 이 정도로만 구분하고, home과 house가 헷갈릴 때 사용하는 이정표 정도로만 생각하면 되겠다. (그 이후에는 암기가 최고임..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