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K's Library

fare, fee, charge, rate 의 복잡 미묘한 차이 (2) - 팟캐스트를 예시로 본문

What I Study - Language

fare, fee, charge, rate 의 복잡 미묘한 차이 (2) - 팟캐스트를 예시로

kye2330 2021. 8. 26. 20:48
728x90

저번 글에 이어서 실제로 WSJ Your Money Briefing 팟캐스트에 나오는 각종 금액 관련 용어를 살펴보려고 한다.

 

1. Why Airfares haven't changed much in 25 years

 

https://www.wsj.com/podcasts/your-money-matters/why-airfares-havent-changed-much-in-25-years/9eddedfb-18a5-4983-b456-40f763b810ac

 

Why Airfares Haven't Changed Much in 25 Years - Your Money Briefing - WSJ Podcasts

Airfares have risen significantly since people resumed flying post-pandemic, but on average they're nearly in line with 1996 levels, and that doesn't even account for inflation. WSJ "Middle Seat" columnist Scott McCartney joins host J.R. Whalen to run thro

www.wsj.com

A lot has changed in the airline industry over the past few decades, higher security, less leg room, more perks and rewards programs just to name a few, but what hasn't changed all that much is airfare.

항공기는 기본적으로 교통에 해당하기 때문에 항공료라는 의미로 airfare를 썼다.

 

Believe it or not, average prices have barely budged in the past 25 years according to th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아이러니하게도 저번 시간에 언급하지 않은 price가 이 팟캐스트에서 제일 많이 나오고 있다. price란 상품에 대한 '가격'이니 사실 구구절절 설명 안해도 바로 이해가 된다. 돈 주고 사는 것이라면 재화이든 서비스이든 price는 당연히 쓸 수 있다. price는 charge와 유사하게 동사로도 쓰일 수 있다. 즉 그냥 가격이든 수수료/요금이든 공급자가 '산정'해야 하니 이럴 때 price를 쓰는 것이다.

 

J.R. Whalen: Okay. But besides the airfares, are there other ways you wind up paying more than you once did?
Scott McCartney: Sure. You definitely pay more fees than you used to. Airlines, they started with baggage fees and that went really well for airlines. In 2019, airlines collected $5.8 billion in baggage fees. It's an astounding number, and that doesn't include the fees people pay for seat assignments, or early boarding, or all kinds of other... There's still some change fees and things like that out there. So we pay a lot in fees.

항공료 외의 항목에 대해 묻자 답변자는 자연스럽게 fees를 사용하고 있다. 항공료 외의 '특정한 서비스'에 대한 금액이니 자연스럽게 fees가 나온 것이다. (baggage fees, change fees)

 

이 에피소드만으로는 좀 부족한 것 같아서 다른 에피소드도 동원..!

 

 

2. Hotels Experiment With A La Carte Pricing

 

https://www.wsj.com/podcasts/your-money-matters/hotels-experiment-with-a-la-carte-pricing/6d261652-f07e-44a1-acb3-bd88367476a8

 

Hotels Experiment With A La Carte Pricing - Your Money Briefing - WSJ Podcasts

As part of a new business strategy, some hotels are trying out "fee for service" pricing, where guests pay for specific services and amenities like room cleaning, gym usage and internet access. Real estate bureau chief Craig Karmin joins host Charlie Turne

www.wsj.com

 

일부 호텔이 방값을 낮추는 대신, 방값에 포함되어 있었던 다양한 서비스를 돈 주고 사게끔 정책을 바꾸고 있다는 내용의 팟캐스트이다.

 

Before too long, hotel guests may find themselves paying extra fees for services and amenities that used to be free. One of the largest US hotel owners, MCR is experimenting with a new business strategy, charging extra for things like online access and gym usage in exchange for a lower nightly room rate.

여기에 무려 fee, charge, rate 세 개가 다 쓰였다.

우선 fee를 보면 뒤에 "for services and amenities"가 붙었다. 즉 이 팟캐스트에서도 '특정 서비스'이기 때문에 fee가 나온 것이다.

한편 charge는 여기서 동사로 쓰였는데, 상대방에게 그 금액을 청구할 때에는 charge를 사용한다.

'방값'에 해당하는 표현으로는 room rate이 쓰였다. 항공료는 airfare가 기본 표현인 것처럼, 방값은 room rate가 자연스럽게 나오는 것이다.

 

Craig Karmin: Yeah. So you would book a hotel like you would book any other hotel through the company's website or through an online travel agent. And the idea is that you would be getting a lower price than the hotel would have charged otherwise.

앞서 말했듯 우리가 돈 주고 사는 것이라면 다 price를 붙일 수 있다. 그리고 또 한번 나온 charge. 돈/금액 얘기할 때는 만능 동사이다.

 

 

영어 공부도 공부지만 두 번째 팟캐스트에는 굉장히 흥미로운 내용이 담겨 있다.

호텔이 이렇게 방값을 낮추면서 다양한 서비스를 각각 청구하기 시작하면, 물론 가격에 민감해서 싼 것을 찾는 사람들은 좋아할 수도 있지만, 그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나 선호는 없어질 수 있다고 한다.

 

생각해보면 맞는 말이다. 나만 해도 싼 식당을 갈 때는 싸니까 가지 거기가 정말 정이 들어서, 맛있어서 가진 않는다. 저가항공을 탈 때도 마찬가지이다. 만약 다른 더 싼 곳이 생긴다면 언제든지 갈아탈 준비가 되어 있다.

낮은 가격으로 승부를 보는 호텔이라면 방값과 서비스 비용을 분리하는 정책이 크게 도움될 수 있다. 하지만 브랜드로 먹고 사는 호텔에게는 이런 정책이 독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다. 조삼모사이긴 하지만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에 모두 지불해놨다면, 마치 그 서비스가 모두 공짜로 보여서 더 크게 만족할 수 있다. 하지만 서비스를 사용할 때마다 결제를 해야 한다면 좀 빈정 상할 수도 있지 않을까. ㅎㅎ 사람의 심리란 그렇다.